Airbus A320 Dual Radio Altimeter (RA) Fault 절차 & 안전 복귀 지침

RA 1+2 FAULT는 A320에서 두 시스템 모두의 Radio Altimeter가 고장난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 경우 Landing Gear가 내려진 상태에서는 Flight Control Law가 “Direct Law”로 전이되며, **정확한 고도를 파악할 수 없어 자동 접근(APPR)**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RA 원리, ECAM 절차, 자동화 제한, 조종사의 대응 방법 및 안전 복귀 전략을 총망라해 정리했습니다.
📡 1. RA 원리와 기능
- RA(Radio Altimeter)는 지면상 고도를 도플러 원리를 기반으로 실시간 계산해, 고도 2500ft 이하에서 정확한 고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 RA1과 RA2는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두 개 모두 Fault 상태가 되면 PFD 화면의 BARO MODE만 사용하게 됩니다.
- 이 고장 상태에서는 Autopilot 접근모드는 무효, 자동 플레어 기능도 불가합니다.
⚠️ 2. ECAM 및 법 상태 변화
- ECAM에 NAV RA 1+2 FAULT 메시지와 주의음이 표시되면 즉시 조종사는 Landing Gear가 DN 상태인지 확인하고,
- Landing Gear Down 시 Flight Control Law는 Alternate Law에서 Direct Law로 자동 전환됩니다. 이는 Automatic flare, Alpha-floor, GPWS 피치 제한 기능이 사라지는 상태입니다.
🛠 3. 조종사 대응 절차
- Landing Gear Down 유지 → Direct Law 진입 확정
- LG DN 상태에서 Direct Law로 전이되면 조작 감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항상 안정적 자세 유지가 필수입니다.
- 고도 및 비행 안정화
- RA가 없기 때문에 BARO 모드 고도만으로 판단해야 하며, 지형이나 장애물 저고도 접근은 피합니다. 가능한 **고도를 높게 유지(Stabilized Above Minimums)**하면 안전 접근 기반이 됩니다.
- LOC Only 접근 운용
- RA 결함 시 ILS APPR 불가, LOC 채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동으로 Glideslope 판단 및 착륙 수행해야 합니다. 추가 GNSS 또는 VOR 기반 수동 접근 계획이 필요합니다.
🚧 자동화 제한 및 Flying Mode 변화
- Flight Director(FD), Autopilot, Auto-Thrust 모두 제한되며, Flight Law는 Direct Law로 전환됩니다.
- 이 단계에서는 Alpha‑floor, BANK PROTECTION, AUTO FLARE 등 보호 기능이 모두 사라지므로 조종석은 즉시 수동 조작 모드로 전환해야 합니다.
🧑✈️ Pilot 역할 분담 (CRM 중요)
역할주요 책임
PF (Pilot Flying) | 고도, 속도, 자세 유지 및 LOC 접근 수행 |
PM (Pilot Monitoring) | ECAM 지시 파악 및 QRH(v당시 특별절차) 수행 지원, ATC 상황 전달, Cabin Crew 보고 확인 |
🏁 절차 흐름 요약 및 안전복귀 전략
- ECAM RA 1+2 FAULT 메시지 확인 → LG DN인지 판단
- Landing Gear DN 상태 유지 → Flight Law Direct Law 전이 확인
- 고도 안정화 및 BARO 고도만으로 유지
- LOC Only 접근 운용 및 ILS 자동 접근 무시
- 고장 복구 불가 시 RAW Data 방식으로 접근
- 착륙 후 maintenance 점검 요청 및 보고
✅ 핵심 요약
- RA1+2 Fault 발생 시 Landing Gear DN 상태에서는 Direct Law로 전환되어 자동 접근 기능이 상실됩니다.
- 자동화 시스템은 모두 제한되며, 조종사는 LOC 파일럿 지시 + 고도 안정화 + 직접 Landing 수행이 필수입니다.
- Opportunistic 자동화 복귀 기능은 없으므로, FD 및 AP/AT 없이 수동対応에 익숙해야 하며 CRM과 조종사의 판단이 생명을 보호합니다.
A320 Dual RA Fault는 자동화가 대부분 무력화되는 매우 민감한 시나리오입니다. 이 상황에서 조종사는 절차 숙지와 수동 비행 능력을 발휘해 안전하게 기체를 운용해야 하며, Training과 Simulator 적용이 가장 강력한 대응 수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