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rbus A320 Dual FMGC Fault – 안전 운항을 위한 조종사의 절차 정리
🚨 1. Dual FMGC Fault란 무엇인가?
FMGC(FMS & Flight Management Guidance Computer) 1과 2가 모두 고장나는 경우, Dual FMGC Fault가 발생합니다. 이때 항공기의 자동 항법 기능 대부분이 상실되며, **NAV 기준 비행 모드는 BU NAV(Basic Unreliable Navigation)**로 전환됩니다.
BU NAV 모드에서는 다음 기능만 사용 가능합니다:
- F-PLN (Flight Plan 보기)
- DIR (직접 레그 선택)
- PROG (진행 경로 모니터링)
- 오직 기장에 저장된 Waypoint(WPTs) 정보만 유지
이 상황에서는 자동 fly-over, LNAV/VNAV, 고급 연료 관리 기능을 사용할 수 없으며, 조종사가 수동으로 비행 경로와 속도를 관리해야 합니다.
🧩 왜 Dual FMGC Fault는 복잡한 상황인가?
Dual FMGC Fault는 단순히 항법 시스템의 고장이 아닙니다. DC dual fault와 유사하게, 고장 난 시스템이 많아 ECAM 메시지 수행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또한, 많은 시스템 고장은 FCOM의 비정상(Abnormal) 절차에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정규 QRH에서는 다루지 않는 예외 상황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조종사는 Dual FMGC Fault 발생 시 단순히 ECAM 메시지를 순서대로 실행하는 것뿐 아니라, 비행 단계별로 필요한 시스템과 절차만 선별해서 집중적으로 작업해야 합니다.
🛠 2. 절차 흐름: 종합 판단 기반 수행
① ECAM 메시지 및 즉각 대응
- ECAM에 DUAL FMGC FAULT 메시지와 함께 시스템 인오퍼레이션(ECAM INOP SYS)이 다수 표시됩니다.
- 가장 먼저 autopilot, auto-thrust 등을 수동(Basic) 모드로 전환해야 합니다.
② QRH – OPS – OP SPD 수행
- QRH를 참조해 Operation Speed Table을 확인한 후, 비행 경로 단계를 고려해 Vref ±5 kt 또는 1/3 HD (Holding Distance) 중 적합한 속도를 선택하고 유지합니다.
- 고도 유지나 approach 안정성 확보를 위해 속도 조절이 중요하며, 수동 조종에 익숙해야 합니다.
📋 3. 비행단계별 핵심 선택 방식 (Brief 방식)
절차가 복잡할 때는, 조종사 간 비행단계별로 **우선 Brief(브리핑)**한 후 해당 단계에 해당하는 INOP SYS만 집중 분석하고 ECAM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Descent (하강) | NAV DATA, Performance switches etc. | 고도계 기준, descent rate 제어 |
Approach (접근) | LNAV, VNAV, FMS VNAV/PATH | LOC만 수동조종, Glide path 수동 판단 |
Landing (착륙) | Auto-thrust, touchdown / rollout logic | Vref 설정, 수동 브레이크/Reverse 준비 |
이 방식으로 각 단계별로 절차를 단순화할 수 있고, ECAM 과부하를 줄이며 실질적인 비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4. BU NAV 모드에서의 수동 운행
- F-PLN, DIR, PROG만 사용 가능하므로, 조종사는 항법 경로를 수시로 확인하며 WPT 중심으로 방향 및 속도 유지해야 합니다.
- ND는 기본 비행 경로만 표시하고, ILS 접근 시 LOC Only 상태임을 인지하며 Glide path는 수동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 Approaches에서는 수동 Approach 관리 (예: V/S 조작, 수동 고도 계산 등)가 필요하며, FAF 이후 Flare로 직접 수행해야 합니다.
🧑✈️ 5. 조종사 역할 분담과 CRM
- PF (Pilot Flying): Pitch, Thrust, Flight Path 수동 조종 및 속도 유지에 집중
- PM (Pilot Monitoring): ECAM 절차 수행과 함께, Cabin Crew와 ATC 보고 및 QRH 참조
- Brief 전후: 특히 Dual FMGC Fault 상황처럼 ECAM 인오퍼레이션 다수 발생 시, PF-PM 간 Roles & Responsibilities를 정확히 브리핑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결론
Dual FMGC Fault 상황은 항법 시스템의 대부분이 상실되어 자동화가 불가능해지는 비상상황입니다. BU NAV 모드로 전환되어 F-PLN / DIR / PROG 기능만 사용 가능하며, 조종사는 QRH의 Operation Speed Table을 참고해 고정 속도 운행을 수행해야 합니다.
더 중요한 것은 ECAM 절차가 복잡할 때 미리 비행 단계별로 필요한 INOP SYS만 선별해 Brief하고, 자동화 범위가 축소된 상황에서 역할 분담과 수동 조종 능력을 활용해 안정 운항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대비는 훈련과 시뮬레이션 반복, 절차 숙지, 그리고 조종사 간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으로 가능하며, 실제 비상상황에서 생명을 보호하는 핵심 요소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