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rcling Approach 보호구역 – 카테고리별 반경 차이와 공항별 제한 사례 정리
Circling Approach(서클 투 랜드)는 직선 접근이 어려운 상황에서 활주로 근처에서 선회하여 착륙하는 절차입니다. 이때 항공기가 비행하는 공간은 **Protected Area(보호구역)**으로 설정되며, 이 안에서 장애물 여유를 확보해야 합니다. 보호구역의 크기는 항공기 **Approach Speed Category(접근 속도 카테고리)**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 또한 일부 공항은 특정 카테고리의 항공기에 대해서만 Circling Approach를 허용하기도 합니다.
1️⃣ 카테고리별 반경이 다른 이유
항공기는 속도가 빠를수록 회전 반경이 커집니다. 같은 뱅크각에서도 속도가 높아지면 원심력이 커지기 때문에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ICAO와 FAA 기준 모두 **항공기 접근 속도 카테고리(A~E)**에 따라 다른 보호 반경을 설정합니다.
- Category A: 속도가 느려 회전 반경이 작기 때문에 작은 보호구역으로도 충분합니다.
- Category E: 속도가 빠르고 회전 반경이 커서 더 넓은 보호구역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모든 항공기에 대해 가장 큰 반경을 적용하면 안전하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카테고리를 최대 반경으로 설정하면 공항 주변 장애물 제한이 과도하게 적용되고, 불필요하게 넓은 공간에 대한 절차 설계와 장애물 관리가 필요해집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소형 항공기는 작은 반경에서도 충분히 안전하게 선회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만큼만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2️⃣ TERPS와 PANS‑OPS의 차이
- ICAO PANS‑OPS: 고도에 따른 TAS(진대기속도)와 항공기 카테고리를 고려해 반경을 계산합니다. Category C 기준 약 4.2NM, Category D는 약 5.3NM으로 넓은 보호구역을 설정합니다.
- FAA TERPS: IAS 기준으로 계산하며, Category C 기준 반경은 1,000ft MDA에서 약 2.7NM으로 PANS‑OPS보다 좁습니다. MDA가 높아지면 반경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항공기라도 절차가 TERPS 기준으로 설계된 공항에서는 보호구역이 상대적으로 좁아질 수 있습니다.
3️⃣ 공항별 Circling 접근 제한 사례
모든 공항이 모든 카테고리의 항공기에 대해 Circling 접근을 허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장애물 환경, 공역 구조, 절차 설계상의 이유로 특정 카테고리만 Circling 접근이 가능하도록 제한하기도 합니다.
- 예시 1: 일부 공항은 Category C 이하의 항공기에만 Circling 접근을 허용하고, Category D와 E는 Circling NA로 표기합니다.
- 예시 2: 반대로 활주로와 주변 지형 조건 때문에 Category D와 E만 Circling이 가능하고, 소형 항공기는 제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이런 정보는 접근 차트의 Circling Minima 표에 “Circling NA”, **“Circling only authorized for Cat C/D”**와 같은 문구로 표시됩니다.
4️⃣ 절차 설계와 운항상의 이유
- 보호구역을 크게 설정할수록 주변 장애물 제거 및 제한 요구가 증가합니다.
- 공항 주변 지형이 복잡하거나 장애물이 많으면 모든 카테고리에 대해 Circling을 허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 따라서 절차 설계자는 각 카테고리의 속도와 성능을 고려해 필요한 만큼만 반경을 설정합니다.
5️⃣ 조종사가 알아야 할 것
- 차트에서 Circling 접근 가능 카테고리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절차가 TERPS 기준인지, PANS‑OPS 기준인지도 확인해 반경 차이를 이해해야 합니다.
- 제한이 없는 경우라도, 더 큰 반경 안에서 비행하는 것은 문제되지 않습니다. 다만 절차 설계는 항공기 성능에 맞춰 최소한의 범위로 설정됩니다.
✈️ 결론
Circling Approach의 보호구역 반경은 항공기의 속도와 회전 성능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 모든 항공기에 대해 가장 큰 반경을 적용하면 안전할 수 있지만, 이는 절차 설계와 공항 운영 측면에서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공항과 절차 설계자는 각 카테고리에 필요한 만큼의 반경만 제공하며, 일부 공항에서는 특정 카테고리 항공기에만 Circling 접근을 허용하기도 합니다.
조종사는 접근 차트에서 Circling 가능 카테고리와 절차 기준(TERPS 또는 PANS‑OPS)을 확인하고, 자신의 항공기 Category와 MDA 조건에 맞는 반경과 시정 조건을 정확히 이해한 뒤 비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