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320 RTO 후 브레이크 과열과 유압 누유, 화재 위험 분석
이륙 중단(Rejected Takeoff, RTO)은 항공기 운항 중 가장 큰 하중이 가해지는 절차 중 하나입니다.
V1 이전에 중대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조종사는 RTO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브레이크, 유압, 타이어, 연료 계통에 막대한 스트레스가 가해집니다.
특히 브레이크 과열로 인한 유압계통 손상과 화재 위험은 정비사와 조종사가 반드시 인지해야 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1️⃣ RTO 시 항공기에 가해지는 부담
RTO가 수행되면 조종사는 리버스(역추력), 스포일러 전개, 브레이크 최대 사용을 통해 항공기를 활주로 안에서 정지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브레이크에는 막대한 에너지가 전달됩니다.
- 이륙 직전 속도에서 정지까지 브레이크에 전달되는 열 에너지는 수 MJ(메가줄) 단위에 달합니다.
- 엔진은 역추력으로 급격히 전환되면서 연료 계통 압력에도 변화가 발생합니다.
- 유압 펌프와 PTU가 동시에 가동되며 유압 라인과 액추에이터에 큰 부하가 걸립니다.
2️⃣ 브레이크 과열 – 가장 큰 위험 요소
✅ 브레이크 온도 상승
300℃ 이하 | 정상 범위 |
300~500℃ | 냉각 필요, Brake Cooling Table 참조 |
500℃ 이상 | 퓨즈 플러그 용융 및 타이어 압력 손실 가능 |
RTO 수행 후 브레이크 온도는 500℃ 이상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특히 무거운 항공기에서 고속 RTO 시 이 값은 더욱 커집니다.
✅ 퓨즈 플러그 작동
- 브레이크 과열 시 휠 내부 퓨즈 플러그가 녹아 타이어 공기를 방출합니다.
- 이는 타이어 폭발을 방지하는 장치지만, 작동 시 타이어는 반드시 교체가 필요합니다.
3️⃣ 유압 누유와 화재 위험
A320의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는 Green 또는 Yellow 유압 계통에 연결되어 있으며, RTO 시 최대 압력으로 작동합니다.
🔹 왜 유압 누유 위험이 커지는가?
- 브레이크 온도 상승 → 액추에이터 씰(O-ring)과 호스 연결부 열화
- 열화된 씰에서 미세 누유 발생 가능
- 누유된 Skydrol(인산에스터계 유압액)이 고온 표면에 닿으면 발화 가능성 증가
🔹 Skydrol 발화점
- Skydrol의 발화점은 약 450℃ 전후입니다.
- 브레이크 디스크 온도는 RTO 후 500℃ 이상까지 올라가므로, 누유된 유압액이 디스크 표면과 접촉할 경우 화재 위험이 존재합니다.
4️⃣ 연료 탱크와의 관계
A320 메인 랜딩기어는 **Center Wing Box(중앙 연료탱크)**와 인접합니다.
브레이크 과열로 인한 전달 열이 연료 탱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Airbus 매뉴얼은 브레이크 화재 가능성이 있는 경우 항공기를 즉시 견인하여 소방 지원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5️⃣ 조종사 및 정비사 절차 요약
✅ 조종사 (QRH 절차)
- 활주로 이탈 후 ECAM 확인 (Brake Temp, HYD 관련 경고)
- Brake Cooling Table 참조
- Brake Fan 작동 여부 판단 → 필요시 사용
- ATC와 협력해 지상에서 장시간 대기
✅ 정비사
- 휠, 타이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주변 유압 누유 점검
- 타이어 퓨즈 플러그 작동 여부 확인
- 브레이크 디스크 균열 및 과열 손상 점검
- Brake Cooling Table 기반으로 냉각 시간 산출 후 후속 조치
6️⃣ 조종사가 주의해야 할 핵심 사항
✅ V1 이하에서만 RTO 수행 가능 – 그럼에도 불구하고 RTO는 항공기 시스템에 막대한 스트레스를 가함
✅ 브레이크 과열은 RTO 후 가장 흔한 문제 – Brake Cooling Table 확인 필수
✅ 유압계통 손상 가능성 고려 – O-ring 손상 및 누유 여부 점검 필요
✅ 연료탱크 발열 주의 – 브레이크 화재로 발전 시 Center Wing Tank에도 위험
📌 결론
RTO는 조종사가 생명을 지키기 위해 선택하는 최후의 수단이지만, 수행 후에는 항공기 시스템에 막대한 열과 압력이 가해집니다.
특히 브레이크 과열로 인한 타이어 손상, 유압 누유, 화재 위험은 반드시 점검과 냉각 절차를 통해 관리해야 합니다.
조종사는 QRH와 ECAM 절차를 준수해 Brake Cooling Table을 확인해야 하며, 정비사는 유압계통과 브레이크 상태를 철저히 점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