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320 이륙 성능 – V1 속도와 DRY/WET 활주로 상태에 따른 차이와 의미
항공기 이륙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속도 중 하나가 **V1(이륙 결정 속도)**입니다.
V1은 엔진 고장이나 다른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륙을 중단할지(Reject) 아니면 계속할지(Continue)**를 결정하는 기준 속도입니다.
A320 조종사는 매 비행마다 성능 계산을 통해 활주로 상태, 항공기 중량, 바람, 기온 등을 고려해 V1을 설정합니다. 특히 활주로가 **건조(DRY)**인지, **젖어있는지(WET)**에 따라 V1 값과 이륙 성능은 달라집니다.
✅ V1 속도의 정확한 의미
- V1 = Takeoff Decision Speed (이륙 결정 속도)
- V1 이전: 엔진 고장 등 중대한 문제 발생 시 이륙 중단(Rejected Takeoff) 가능
- V1 이후: 이륙을 계속해야 하며 중단을 시도해서는 안 됨
즉, V1은 항공기가 활주로 잔여 거리 안에서 안전하게 멈출 수 있는 마지막 속도를 의미합니다.
V1 이후의 중단은 활주로를 벗어나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금지됩니다.
✅ DRY와 WET 활주로에서의 차이
📌 DRY 활주로
- 제동력이 높아 제동 거리가 짧음
- 활주로 여유가 크므로 V1 값이 더 높게 설정되는 경향
- 하지만 V1 이후 RTO는 절대 금지, 기본 원칙은 동일함
📌 WET 활주로
- 마찰력이 낮아 제동 거리가 증가
- 엔진 고장 시 RTO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V1이 더 낮게 설정됨
- 낮은 속도에서 Reject 결정을 내려야 하므로, 조종사 판단 시간이 줄어듦
✅ V1 값은 얼마나 차이가 날까?
예를 들어, 동일한 조건에서 2,200m 활주로에서 A320이 이륙할 때:
V1 | 약 145 kt | 약 137 kt |
이륙 거리 | 약 1,550 m | 약 1,650 m |
RTO 성공률 | 높음 | 낮음 |
보통 WET에서는 V1이 DRY 대비 5~10kt 정도 낮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V1 이후 RTO는 금지, 단 예외적 상황만 고려
원칙적으로 V1 이후에는 무조건 이륙을 계속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RTO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엔진 화재 또는 심각한 엔진 파손
- Flight Control Jam 등으로 비행 불가능 상태
- 기타 항공기 손상이 명백하여 비행을 지속할 수 없을 때
이 경우에도 활주로 잔여 거리와 속도를 고려해야 하며, 조종사가 즉시 판단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V1 이후 중단보다 이륙 후 비상 착륙이 훨씬 안전합니다.
✅ 성능 계산에서 고려되는 요소
- 항공기 중량 (TOW)
- 활주로 길이, 경사, 상태(DRY/WET)
- 풍향, 풍속
- 엔진 추력 설정 (TOGA/FLEX)
이 모든 요소가 결합되어 V1, VR, V2 속도가 산출되며, DRY/WET에 따라 V1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 조종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점
☑️ V1 이전에만 RTO 가능 – 엔진 고장, 화재, Windshear, Takeoff Config Warning 등 중대한 상황에서만 중단
☑️ V1 이후에는 무조건 이륙 – 활주로 상태와 관계없이 동일한 원칙
☑️ WET에서는 V1이 낮아지고 RTO 판단 시간이 줄어든다 – 조종사는 더 빠른 판단이 필요
☑️ 성능 계산 정확성 필수 – 활주로 상태를 잘못 입력하면 위험한 결과 초래
📌 DRY vs WET 비교 요약
마찰력 | 높음 | 낮음 |
V1 | 더 높게 설정 | 5~10kt 낮게 설정 |
이륙 중단 여유 | 상대적으로 큼 | 상대적으로 작음 |
RTO 판단 시간 | 약간 여유 있음 | 짧아짐 |
V1 이후 중단 가능 여부 | ❌ 금지 (예외 극히 제한) | ❌ 금지 (예외 동일) |
✈️ 결론
V1은 단순한 속도가 아니라, 이륙을 중단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의 기준점입니다.
DRY 활주로에서는 제동력이 좋아 V1이 높게 설정되지만, V1 이후 RTO 금지 원칙은 동일합니다.
WET 활주로에서는 제동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V1이 더 낮아지고, 조종사의 판단 시간이 짧아집니다.
따라서 조종사는 활주로 상태에 따른 V1 변화를 이해하고, V1 이전·이후 판단 기준을 철저히 숙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