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8)
Airbus A320 vs A321 – Flap 3와 Flap FULL의 각도 차이와 착륙 성능 비교 Airbus A320 vs A321 – Flap 3와 Flap FULL의 각도 차이와 착륙 성능 비교Airbus A320과 A321은 외형상 유사해 보이지만, 성능과 설계에서 중요한 차이들이 존재합니다. 특히 착륙 시 설정하는 플랩(Flap) 각도는 조종사 입장에서 비행 성능과 착륙거리, 속도, 조작감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A320과 A321은 모두 Flap 3와 Flap FULL 두 가지 주요 착륙 설정을 제공하며, 이 중 어떤 설정이 더 적절한지는 항공기의 길이, 무게, 속도, 활주로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글에서는 A320과 A321의 Flap 3 / FULL 각도 차이, 기체 반응, 조종 전략, 그리고 실제 착륙 성능 차이를 비교해봅니다.📐 Flap 설정 각도 – A320 vs A321A..
항공기 테일스트라이크(Tailstrike) 방지 항공기 테일스트라이크(Tailstrike) 방지 – 조종사 실수? 아니면 시스템 설계의 싸움인가비행기 착륙에서 조종사가 가장 경계하는 사고 중 하나가 바로 **테일스트라이크(Tailstrike)**입니다. 말 그대로 항공기 꼬리(Tail)가 활주로에 닿아 긁히거나 충돌하는 사고로, 대부분 착륙 시 발생하지만, 이륙 시에도 부주의한 조작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Airbus A320을 기준으로, 테일스트라이크는 인위적인 조작만의 문제가 아니라 무게, CG, 풍향, 활주로 경사, 피치 각도, 플레어 타이밍 등 복합적인 조건이 맞물릴 때 발생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설계와 조종 전략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테일스트라이크란?Tailstrike는 항공기의 꼬리 부분이 착륙이나 이륙 시 활주로에 접촉..
항공기 착륙 시 플레어(Flare)와 무게 및 CG의 관계 항공기 착륙 시 플레어(Flare)와 무게 및 CG의 관계 – 조종사 손끝의 미세한 과학착륙은 비행의 마지막 단계이자 가장 정밀한 순간입니다. 그 중에서도 ‘플레어(Flare)’는 항공기가 활주로에 닿기 직전, 수직 하강률을 줄이기 위해 기수를 살짝 들어 양력을 증가시키는 비행 조작으로, 승객이 가장 강하게 착륙의 질을 느끼는 순간이기도 합니다. Airbus A320과 같은 현대 여객기에서는 자동화된 시스템이 많이 개입하더라도, 플레어는 여전히 조종사의 손끝 감각에 의존하는 고난도 기술입니다.이때, 항공기의 무게와 **CG(무게중심)**는 플레어의 타이밍, 기수 상승률, 감속 감각, 착지 지점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플레어(Flare)의 기본 개념플레어는 착륙 접근 중 적절한 고도(보통 지상 ..
공중에서 감속 시 무게와 CG(무게중심)의 관계 공중에서 감속 시 무게와 CG(무게중심)의 관계 – A320 기준 비행역학 이야기항공기가 공중에서 속도를 줄이는 감속(Deceleration) 절차는 단순히 스로틀(Throttle)을 줄이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기체의 질량(Weight), 무게중심(CG: Center of Gravity), 고도, 피치 각, 스포일러, 항력 계수 등 복합적인 항공역학이 작용하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Airbus A320과 같은 현대 여객기는 정교한 비행제어 시스템(FBW)을 통해 감속 절차를 자동화하고 있지만, 이 시스템조차도 무게와 CG 위치에 따라 달라진 기체 반응을 보정하며 제어합니다. 오늘은 공중 감속 시 무게와 CG의 변화가 비행 동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왜 조종사들이 이를 세심하게 고려해야 ..
항공기 착륙중량이 감속에 미치는 영향 – 더 무거우면 정말 멈추기 어려울까? 항공기 착륙중량이 감속에 미치는 영향 – 더 무거우면 정말 멈추기 어려울까?항공기 운항에서 착륙은 단순한 ‘지상 접촉’이 아닌, 수많은 물리적 요인이 맞물리는 복잡한 감속(Deceleration) 과정입니다. 특히 착륙 중량(Landing Weight)은 활주로 내에서의 정지 거리, 브레이크 사용량, 타이어 마모, 심지어 제동 장치의 발열 수준까지 전반적인 감속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Airbus A320 기종을 기준으로, 착륙 중량이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감속에 작용하며, 조종사와 항공사가 이 데이터를 어떻게 운용 판단에 반영하는지를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1. 착륙 중량이 감속에 미치는 기초 물리항공기 감속은 기본적으로 뉴턴의 제2법칙 F=maF = maF=ma에 기반합니다. 여기서 감속에 필요..
ENG-ANTI ICE와 엔진 STALL vol.2 ENG-ANTI ICE와 엔진 STALL vol.2비행 중 엔진 안티아이스(Engine Anti-Ice)를 작동시키는 행위는 단순히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이해되기 쉽지만, 실제로는 엔진 내 공기 흐름을 안정화시키는 ‘공기역학적 안정화(aerodynamic stabilization)’ 측면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Airbus A320과 같이 고바이패스 터보팬 엔진을 사용하는 현대 여객기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조금만 불안정해져도 압축기 스톨(Compressor Stall)이나 서지(Surge)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곧 비행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압축기 공기 흐름: 왜 그렇게 민감한가?엔진의 압축기는 공기를 빠르고 압축적으로 압축한 후 연소실로 전달하는 역할을..
ENG-ANTI ICE와 엔진 STALL vol.1 ENG-ANTI ICE와 엔진 STALL 비행 중 엔진 스톨이나 화산재를 회피하는 상황에서 조종사가 ‘엔진 안티아이스(Engine Anti-Ice)’를 켜는 이유는 단순히 결빙을 막기 위한 차원을 넘어, 복잡한 엔진 보호 메커니즘과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Airbus A320과 같은 고바이패스 터보팬 엔진에서는 엔진 입구에서부터 압축기까지의 흐름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며, 화산재나 얼음 결정 등이 엔진 내부로 유입될 경우 심각한 고장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사는 절차상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합니다.1. 엔진 안티아이스의 기본 원리A320 기종에 장착되는 CFM56이나 IAE V2500 엔진에는 저압 압축기 전단부(통상적으로 Fan Inlet Guide Vane 및 LPC 1단)에 Bl..
✈️ EDTO – 현대 항공기의 장거리 운영 기준, ETOPS를 넘어선 개념 ✈️ EDTO – 현대 항공기의 장거리 운영 기준, ETOPS를 넘어선 개념쌍발기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은 ETOPS(Extended-range Twin-engine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를 통해 이뤄졌지만, 오늘날 항공 산업은 그보다 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을 요구한다. ICAO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EDTO(Extended Diversion Time Operations)**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EDTO는 단순히 쌍발기만이 아닌, 모든 다발기 항공기의 ‘확장된 항로상 비상운항 능력’을 총괄하는 기준이며, 오늘날 항공기와 항공사의 장거리 운항 안전을 관리하는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잡았다.🧭 EDTO란 무엇인가?EDTO는 ICAO Doc 9976에 정의된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