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5) 썸네일형 리스트형 British Airways Flight 009 Engine Flame Out ✈️ British Airways Flight 009 Engine Flame Out1982년 6월 24일, British Airways의 보잉 747‑236B 항공기는 쿠알라룸푸르에서 퍼스로 향하던 중, 자바섬 남쪽 상공 고도 37,000피트에서 Mount Galunggung 화산재 구름을 통과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승무원과 승객들은 처음엔 희미한 황 냄새와 조종실 내 연기로 착각했지만, 곧 엔진 불빛과 함께 하나씩 꺼지는 네 개의 엔진을 목격하며 큰 위기를 맞이했습니다. 결국 네 개의 Rolls‑Royce RB211 엔진이 차례로 멈추는 Quadruple flame‑out 상황이 발생했지만, 조종사의 침착한 대응으로 Jakarta Halim 공항에 안전 착륙했으며, 다행히 사상자 없이 모든 인원이 생존.. 화산재 비행 시 엔진 출력과 Anti‑Ice 사용 – 안전 운항을 위한 이유와 절차 화산재 비행 시 엔진 출력과 Anti‑Ice 사용 – 안전 운항을 위한 이유와 절차항공기는 일반적으로 비행 중 다양한 기상 요소에 노출되지만, 화산재 구름은 그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환경 중 하나로 꼽힌다. 화산재는 미세한 유리질 입자와 광물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눈에 잘 보이지 않고 일반 기상 레이더에도 감지되지 않는다. 이 입자들은 고도 수천 미터까지 확산될 수 있으며, 항공기의 엔진, 유리창, 센서, 전자 장비에 심각한 손상을 준다. 특히 제트엔진은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므로, 화산재가 유입되면 내부에서 녹아붙어 엔진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때문에 조종사는 화산재를 피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특별한 절차를 따라야 한다. 그중에서도 엔진 출력은 줄이고 Anti‑Ice는 켜는 것이 중요한 .. 화산재(volcanic ash)와 항공기에 미치는 영향 화산재(volcanic ash)와 항공기에 미치는 영향🌋 1. 화산재(volcanic ash)란?화산재는 화산 폭발로 생성된 작은 유리질 암석과 미세 광물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최대 2mm 정도입니다. 이 입자는 대류에 의해 고도 10,000m 이상까지 확산되며 수백~수천 킬로미터에 걸쳐 비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산재는 일반 기상 레이더에는 거의 감지되지 않으며, 조종실 창문이나 자동화 시스템에도 일반 구름과 구분되지 않아 탐지 어려움이 가장 큰 위험 중 하나입니다.🛫 2. 항공기에 미치는 치명적 위험 요소① 엔진 손상 및 Flame‑Out (시동 정지)화산재 입자가 엔진 내부 고온 구간(≥1,100°C)에서 녹아서 유리질로 응고됩니다.응고된 유리질이 터빈 블레이드나 가이드 베인에 달.. Circling Approach 사고 사례 – 부산 Air China 129편과 보호구역의 중요성 Circling Approach 사고 사례 – 부산 Air China 129편과 보호구역의 중요성Circling Approach는 직선으로 활주로에 진입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되는 접근 방식으로, 활주로 부근에서 선회하여 착륙하는 절차다. 이 절차에서 항공기는 장애물을 피하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정해진 보호구역 안에서 비행해야 한다. 이 보호구역은 항공기 접근 속도 카테고리와 고도, 기체 성능을 고려해 설계된다. 그러나 이를 벗어나거나 절차를 지키지 않으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2002년 부산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차이나 129편 사고가 대표적인 사례다.사고 개요2002년 4월 15일, 중국 베이징에서 출발한 에어차이나 보잉 767 여객기가 부산 김해공항으로 접근했다. 승무원들은 활주로 36L.. Circling Approach 보호구역 – 카테고리별 반경 차이와 공항별 제한 사례 정리 Circling Approach 보호구역 – 카테고리별 반경 차이와 공항별 제한 사례 정리Circling Approach(서클 투 랜드)는 직선 접근이 어려운 상황에서 활주로 근처에서 선회하여 착륙하는 절차입니다. 이때 항공기가 비행하는 공간은 **Protected Area(보호구역)**으로 설정되며, 이 안에서 장애물 여유를 확보해야 합니다. 보호구역의 크기는 항공기 **Approach Speed Category(접근 속도 카테고리)**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 또한 일부 공항은 특정 카테고리의 항공기에 대해서만 Circling Approach를 허용하기도 합니다.1️⃣ 카테고리별 반경이 다른 이유항공기는 속도가 빠를수록 회전 반경이 커집니다. 같은 뱅크각에서도 속도가 높아지면 원심력이 커지기 때문에.. TERPS와 PANS‑OPS 비교 – Circling Approach Protected Area 완전 정리 TERPS와 PANS‑OPS 비교 – Circling Approach Protected Area 완전 정리Circling Approach(서클 투 랜드)는 직선으로 착륙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활주로를 선회하여 착륙하는 절차입니다. 이때 조종사는 장애물을 피하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Protected Area(보호구역) 안에서 비행해야 하며, 이 보호구역의 크기와 설계 방식은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표적인 설계 기준은 ICAO의 PANS‑OPS와 미국 FAA의 TERPS입니다. 두 기준은 반경 계산 방식과 장애물 여유고, 시정 조건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1️⃣ PANS‑OPS와 TERPS의 설계 기준 차이ICAO PANS‑OPSCircling Protected Area 반경은 항공기의 Approac.. Airbus 계열 항공기에서 PFD에 표시되는 속도 정보 – A320과 A380의 차이와 속도 표시에 대한 이해 Airbus 계열 항공기에서 PFD에 표시되는 속도 정보 – A320과 A380의 차이와 속도 표시에 대한 이해Airbus 계열 항공기의 기본 비행 데이터는 **Primary Flight Display(PFD)**에 표시됩니다. 이 중 속도와 관련된 지표는 조종사가 비행 중 가장 많이 참고하는 정보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모든 속도 지표가 실제 비행 장치 위치를 반영하는 것인지, 아니면 레버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기종별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VFE, VLS, G/S Mini(GDS), VMO/MMO 등의 의미와 표시 방식, 그리고 A320 계열과 A380의 차이점을 함께 살펴봅니다.1️⃣ PFD에 표시되는 주요 속도 정보속도 지표의미VFE플랩 최대 전개 가능 속도(Flap .. A320 G+B HYD FAIL 상태에서 Flaps 전개 시 속도 관리 전략 – GDS와 VFE를 고려한 안전한 접근 방법 A320 G+B HYD FAIL 상태에서 Flaps 전개 시 속도 관리 전략 – GDS와 VFE를 고려한 안전한 접근 방법Airbus A320에서 **Green + Blue 유압 계통(G+B)**이 동시에 고장나면 항공기의 비행 조종면과 플랩 시스템에 심각한 제한이 발생합니다. 이 상황에서는 오토파일럿 사용이 불가능하고, 일부 스포일러·에일러론·엘리베이터가 작동하지 않으며, 플랩과 슬랫의 정상적인 전개도 불가능합니다. 특히 접근(APP) 단계에서 플랩 레버를 이동해도 예상과 다른 플랩/슬랫 구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속도(Vapp)와 최대 플랩 확장 속도(VFE) 사이에서 복잡한 판단이 필요합니다.1️⃣ 문제 상황 – GDS 210kt에서 Flap 레버 조작 시 발생하는 현상G+B HYD FA..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