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British Airways Flight 009 Engine Flame Out

✈️ British Airways Flight 009 Engine Flame Out

BA 보잉747 항공기

1982년 6월 24일, British Airways의 보잉 747‑236B 항공기는 쿠알라룸푸르에서 퍼스로 향하던 중, 자바섬 남쪽 상공 고도 37,000피트에서 Mount Galunggung 화산재 구름을 통과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승무원과 승객들은 처음엔 희미한 황 냄새와 조종실 내 연기로 착각했지만, 곧 엔진 불빛과 함께 하나씩 꺼지는 네 개의 엔진을 목격하며 큰 위기를 맞이했습니다. 결국 네 개의 Rolls‑Royce RB211 엔진이 차례로 멈추는 Quadruple flame‑out 상황이 발생했지만, 조종사의 침착한 대응으로 Jakarta Halim 공항에 안전 착륙했으며, 다행히 사상자 없이 모든 인원이 생존했습니다.


🔥 화산재가 엔진을 어떻게 멈추게 했나

  1. 화산재 입자의 엔진 유입
    구름처럼 보이지 않는 화산재는 브레이크당 레이더에 반사되지 않아 조종사가 인지하기 어렵습니다.
  2. 고온 구역에서 유리질 응고
    연소실 이후 구간에서 화산재 입자는 고온에 녹았다가, 터빈 블레이드와 가이드 베인에 달라붙어 공기 흐름을 차단시킵니다.
  3. 압축기 흐름 붕괴와 flame‑out
    공기 흐름이 차단되면 압축기가 stall 또는 surge를 일으키고, 결국 엔진이 꺼지는 flame‑out이 발생합니다. 747‑200 급의 항공기도 예외는 없었습니다.

🛫 조종사의 대응: 위기 속 침착한 판단

  • St. Elmo’s Fire 현상 감지
    조종실 유리창에 전기 방전 비슷한 밝은 불꽃이 관찰되자, 조종사들은 곧바로 Anti‑Ice를 작동하고 조종실에 경고등을 활성화했습니다.
  • Thrust Idle 및 선회
    엔진 출력을 즉시 Flight Idle로 낮추고, 180° 회전 후 화산재 구름을 벗어났습니다.
  • 비상 선언 및 계획 변경
    곧바로 Mayday를 선언하고, Jakarta로 방향을 변경해 활주로 접근을 준비했습니다.
  • 글라이드 비행 후 엔진 재시동
    고도 약 13,500피트까지 11분가량 글라이드한 뒤 3개의 엔진이 재시동에 성공했고, 비행기는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었습니다.

🚦 교훈과 절차적 의미

항목내용
화산재 탐지 한계 일반 레이더는 화산재를 감지할 수 없어, 조종사의 육안 및 실내 감지에 의존해야 함
엔진 손상 메커니즘 고온에 녹은 화산재가 응고되어 공기 흐름을 차단, flame‑out 유발
효과적인 대응 요소 Anti‑Ice 조작, 출력 저감, 비상 통보, 조종사 간 정확한 역할 분담
비상 착륙 성공 요인 신속한 방향 전환, 글라이드 능력 활용, 재시동 절차 반복
 

✍️ 개인적 해설 및 비행 안전 요약

이 사건은 화산재가 고도 수만 피트까지 확산될 수 있고, 일반 장비로 탐지가 불가능하며, 엔진을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다는 점을 위험 사례로 극명하게 보여줍니다.
또한, 조종사의 침착한 판단력과 미리 정립된 비상 절차, 조종실 간 역할 분담이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한 교훈입니다.

화산재에 대한 대응 기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SIGMET 및 VAAC 예보를 기반으로 비행 계획 수립
  2. 화산재 진입 시 Anti‑Ice 즉시 작동
  3. 엔진 출력 최소화 (Flight Idle)
  4. 빠른 선회 및 하강으로 구역 탈출
  5. 엔진 정지 시 APU 가동과 재시동 시도
  6. 조종실 및 Cabin 간 역할 명확하게 분배

이 모든 조치가 일괄적으로 이뤄졌기에 British Airways Flight 009은 263명의 생명을 구조한 기록적 사례로 남게 되었습니다.


🧭 결론

British Airways Flight 009은 단순 기체 고장이나 장비 오작동이 아닌, 자연 현상으로 일어난 비정형적 사고입니다.
하지만 조종사와 승무원의 전문적 대응 덕분에 모두가 살아 돌아왔다는 사실은 항공 안전 절차의 중요성과 효과를 다시금 깨닫게 합니다.
항공사는 항상 화산재 예보 체계, 비상 절차훈련, Anti‑Ice와 출력을 적절히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정비해야 하며, 조종사 또한 이러한 상황에 대한 이해력과 침착함을 유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