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320 – AP1+2 불가(DUAL FAULT) 및 엔진 불능 시 Divert Decision Making
항공기 자동조종장치(AP)가 모두 불가(AP1+AP2 unavailable)가 되는 경우, 단순히 편의성 저하를 넘어서 비행 가능 고도, 접근 가능 공항, 항법 방식 등에 즉각적인 제한이 걸립니다. 이를 모르면 연료와 목적지 선택에서 치명적인 판단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고도 제한 – RVSM 불가
RVSM(감시공역 분리 최소화) 구역에서는 자동조종 장치가 필수입니다.
- FL290 이상: AP 불가 시 RVSM 요구조건 불충족 → 즉시 FL280 이하로 하강 필요
- 높은 FL로 계획된 비행이라면 성능·연료에 직접 영향
- 예: OPT FL이 FL400, 계획 연료 절감률이 5% 이상이던 경우
- FL320에서 2시간 비행 → 연료 2톤 예상
- AP 불가로 FL280에서 계속 비행 시 +5% 연료 증가 → 1시간 후 1+1.05t = 2.05t 소모
- 500kg 추가 연료 여유가 없다면 계속 비행 불가, Divert 필요
2. 접근 제한 – LVP 불가
- Low Visibility Procedures(LVP) 적용 공항 → AUTOLAND 불가
- CAT II/III 공항이라도 수동 착륙이 가능한 시정 조건으로만 접근 가능
- 목적지가 LVP 운영 중이면 다른 공항 고려 필수
3. 항법 제한 – RNAV/RNP 차이
- RNAV 접근은 가능하지만, RNP AR (Authorization Required) 접근은 AP 불가 시 운용 불가
- AP 없이도 기본 RNAV(GNSS) 접근은 가능하나, 항법 정확도와 조종사 workload 급증
4. 엔진 불능 시 추가 고려 – MEA / MOCA / EO Ceiling
ENG OUT 상황에서는 먼저 최저항법고도(MEA), 최저장애물고도(MOCA), **단발 운항 가능 고도(EO Ceiling)**를 확인
- EO Ceiling이 현 위치의 지형·항로 요구 고도보다 낮으면 즉시 절차상 경로 변경
- 고도에 따른 연료 소모량 재계산 → Divert 가능 여부 판단
5. 연료 공급 제한 – Gravity Feeding
- 일부 상황(펌프 고장, 연료 계통 제한)에서 중력 급유(Gravity Fuel Feeding) 필요
- A320 CFM/IAE 기준 FL300 이상에서 Gravity Feed 제한 → 이 고도에서 내려오기 전까지는 엔진 연료 공급에 제약
- 따라서 ENG OUT 상태에서 FL300 통과 시점 기록이 중요
6. GPS/항법 제한
- GPS PRIMARY 불가 또는 GPS RFI 발생 시 → RNAV 기반 접근 불가
- 가능한 접근: ILS, LOC, VOR
- RNAV 접근만 가능한 공항이라면 접근 불가 → Divert 필요
7. 실무적인 Divert 판단 순서
- 현재 고도 – FL290 이상? RVSM 불가 → 하강
- 목적지 공항 LVP 여부 – AUTOLAND 불가 시 시정 조건 확인
- 목적지 접근 방식 – RNP AR만 가능? RNAV/ILS 대체 가능 여부
- 연료 재계산 – 고도 강하에 따른 연료 증가량 반영
- 엔진 상태 – EO Ceiling, MEA, MOCA 충족 여부
- 연료 공급 상태 – Gravity Feeding 제한 확인
- 항법 상태 – GPS PRIMARY 여부에 따라 접근 방식 선택
8. 결론
AP1+2 모두 불가 상황은 단순히 “자동조종이 안 된다”가 아니라, 고도·연료·공항·접근 방식을 한 번에 제한하는 상황입니다. 여기에 엔진 불능, 연료 계통 제한, GPS 불가 같은 요소가 겹치면 Divert 결정은 훨씬 복잡해집니다.
따라서 기장은:
- 제한 사항을 빠르게 파악하고,
- 연료 소모와 목적지 접근 가능성을 동시에 계산하며,
- 대체 공항 리스트를 즉시 준비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비행 중 갑작스럽게 결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사전 브리핑과 시뮬레이션 훈련에서 반복적으로 연습해두는 것이 Airmanship의 핵심입니다.
'에어버스 320 > 트레이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320 Windshear Alerting & 대응 절차: Predictive vs Reactive (2) | 2025.08.17 |
---|---|
A320 Windshear Predictive & Reactive – 차이와 운용 절차 (1) | 2025.08.17 |
A320 N1 Limit – 의미와 운용, 그리고 실무 활용법 (2) | 2025.08.17 |
A320 ENG FAIL 시 나타나는 Beta Target – 왜 나오고, 왜 ‘베타’라고 부르는가 (2) | 2025.08.16 |
A320 FLAPS/SLATS LOCKED – 왜 VFE-5kt를 선택해야 하나? (2) | 2025.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