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A320 FLAPS/SLATS LOCKED – 왜 VFE-5kt를 선택해야 하나?
몰리버스
2025. 8. 16. 09:00
A320 FLAPS/SLATS LOCKED – 왜 VFE-5kt를 선택해야 하나?
Airbus A320에서 FLAPS/SLATS LOCKED 메시지는 고양력 장치(High Lift Device)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가 전개 또는 수납 위치에서 멈춰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상황에서는 QRH(Quick Reference Handbook)에 따라 VFE – 5kt를 Selected Speed로 설정하고, 남아 있는 Slats 또는 Flaps를 선택하는 절차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많은 조종사들이 “SPD Tape에 표시되는 VLS(최저 선택 속도) 위에만 있으면 되는 것 아닌가?”라는 의문을 가집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순히 VLS 위에 있으면 안전하다는 보장이 없으며, VFE – 5kt라는 수치가 명확하게 정해져 있는 이유가 있습니다.
1. Flaps와 Slats – 역할의 차이
Slats (전방 고양력 장치)
- 날개 앞전에 위치
- 전개 시 날개의 **유효 곡률과 받음각 한계(AOA limit)**를 증가시켜 실속 속도를 낮춤
- 특히 저속·고받음각에서의 실속 여유 확보에 핵심
- 착륙 접근·이륙 초기 상승 시, 높은 받음각에서도 실속 방지에 크게 기여
Flaps (후방 고양력 장치)
- 날개 뒷전에 위치
- 전개 시 날개의 유효 면적과 곡률을 증가시켜 저속에서 더 큰 양력 생성
- 동시에 항력도 증가 → 착륙 시 속도 감소와 활주 거리 단축에 도움
- 주로 양력 증가 + 감속 효과
2. FLAPS/SLATS LOCKED가 의미하는 것
이 경고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FLAPS LOCKED: Flaps가 이동하지 못하고 현재 위치 고정, Slats는 정상 작동
- SLATS LOCKED: Slats가 이동하지 못하고 현재 위치 고정, Flaps는 정상 작동
- FLAPS & SLATS LOCKED: 둘 다 고정
이때 각각의 상황에서 비행 성능과 속도 제한은 크게 달라집니다.
- Slats 불능: 저속에서 실속 여유가 크게 줄어듦 → VLS 증가폭 큼
- Flaps 불능: 착륙 속도가 빨라짐 → 활주 거리 증가
- 둘 다 불능: 실속 여유·속도 제한 모두 크게 악화
3. 왜 VFE – 5kt를 선택하는가?
(1) VFE의 의미
- VFE: 해당 플랩/슬랫 구성에서의 최대 허용 속도 (Flap Extended Speed)
- 이를 초과하면 구조 손상 가능성 → 절대 초과 금지
(2) VFE – 5kt의 목적
QRH에서 제시하는 VFE – 5kt는 단순한 ‘안전 마진’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 남아 있는 장치의 최대 성능 활용
- 예: Slats는 정상, Flaps만 고정된 경우
→ Slats가 제공하는 실속 마진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가능한 한 VFE 근처에서 비행
→ 너무 느리면 실속 위험, 너무 빠르면 불필요하게 장치에 하중
- 예: Slats는 정상, Flaps만 고정된 경우
- 구조 하중 최소화
- 고정된 장치에 공기력이 지속적으로 걸리면 피로 하중이 커짐
→ VFE 근처로 맞추면 불필요한 진동·하중을 줄이면서도 성능 확보
- 고정된 장치에 공기력이 지속적으로 걸리면 피로 하중이 커짐
- 비행 경로·에너지 관리 용이
- 고정된 장치로 장시간 비행 시, 속도를 지나치게 높이면 항력 증가와 연료 소모 과다
- 반대로 속도를 너무 낮추면 실속 위험 증가 → VFE – 5kt가 최적 타협점
4. “그냥 VLS 위에 있으면 되지 않나?”의 함정
(1) VLS는 최저 선택 속도
- 현재 구성에서 실속 방지 보호 한계를 고려한 속도
- 즉, 이 속도는 장치 하중·구조적 한계가 아니라 ‘실속 여유’를 기준으로 설정
- Slats/Flaps 중 일부가 고정된 비정상 상태에서는, VLS가 낮게 표시될 수 있지만 구조 하중을 고려하지 못할 수 있음
(2) VFE는 구조 하중 한계 기준
- 장치 고정 상태에서 속도를 높이면, 해당 장치에 비정상 하중이 가해질 수 있음
- 특히 비정상 상태에서는 Lock된 장치가 정상 작동 때보다 하중 분산 능력이 떨어짐
- VFE – 5kt를 지키는 것이 구조적 손상 방지의 최소 조건
5. 실제 운항 예시
상황: 착륙 접근 중 FLAPS LOCKED (Flap 1 고정, Slats 정상)
- FMGS는 VLS를 계산해 PFD에 표시 → 예: 165kt
- Flap 1의 VFE는 230kt
- QRH 지시: SPEED SEL = 225kt (VFE – 5)
- 이유: Flaps가 고정되어 있지만 Slats가 정상 → 실속 여유는 충분
그러나 구조 하중 고려 시 너무 빠른 속도는 위험 → VFE – 5kt로 타협
6. 결론
- VLS는 실속 여유 기준, VFE는 구조 하중 기준이라는 점이 핵심
- FLAPS/SLATS LOCKED 시에는 구조적 한계와 실속 여유를 동시에 만족하는 속도를 선택해야 하며, 그 값이 바로 VFE – 5kt
- QRH 지시대로 VFE – 5kt를 SEL SPD로 설정하면:
- 장치에 불필요한 하중 방지
- 남아 있는 장치 성능 최대한 활용
- 에너지·경로 관리 최적화
즉, 단순히 “VLS 위면 괜찮다”가 아니라, 구조 안전성 + 조종 안정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절차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진정한 Airmanship입니다.